야구 베팅 분석 노하우

ChungHo
미분류

야구 경기 승부 자체를 보는 것만으로 즐길 수도 있지만 다양한 야구 데이터와 지표를 읽을 수 있다면 더 폭넓고 깊이 있게 즐길 수 있다. 경기에서 두 팀이 만들어내는 득점은 단순하고 명확한 숫자로 표시되지만, 그 점수를 만들어내기 위해 감독과 선수들은 지금까지 쌓아온 여러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략을 세운다. 그리고 경기마다 수 많은 지표가 기록된다. 

야구 베팅 역시 이런 세세한 지표들을 기반으로 전략을 세운다면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수많은 야구 분석 지표가 있지만, 이 기사에서는 야구 베팅 분석 노하우에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대표적인 지표들과 각각의 장단점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투수와 타자 종합 평가 지표 

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WAR(Wins Above Replacement)

WAR은 야구 통계분석 방법론 중 하나인 세이버메트릭스가 제시한 선수 평가 기준 중 하나로 서로 다른 포지션의 선수들이 지닌 가치를 비교하는 데 매우 유용하면서도 직관적인 통계로 평가받는다. 

이 지표는 선수가 팀의 득실점에 얼마나 이바지했는지의 정도를 대체 선수와 비교하여 환산한다. 즉 해당 선수가 경기에 나옴으로써 팀의 승리에 실질적인 기여를 어느 정도 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숫자가 높을수록 팀에 기여하는 바가 많은 즉,  더 가치 있는 선수라고 볼 수 있다. 

타자는 타격 기여, 수비 기여, 포지션별 가중 등을 계산하고 투수는 평균 실점 및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FIP) 등을 참작하여 대체 선수 대비 얼마나 승리에 공헌했는지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다만 이 지표가 구원투수나 지명타자에게 불리하다는 의견이 있어 완벽한 지표로 보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 

주요 타자 평가 지표

타율: AVG (Batting Average)

야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공격 지표는 타율이다. 타율의 계산법은 안타 수를 타수로 나눈 값이다. 타수에는 타격 능력과 무관한 볼넷, 희생 번트, 타격 방해 등은 포함하지 않고 정규 타격 횟수만 포함한다. 

이 타율을 통해 타자의 타격 능력을 평가하는데, 보통 주전 선수들은 최소 0.200의 타율을 기대하고 0.300의 타율을 기록하면 준수한 것으로 평가한다. 0.400 타율은 프로 선수들에게 꿈의 타율이라고 불릴 정도로 매우 높은 기록이다. 

타율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광범위한 통계로 각 안타의 질이나 타자가 볼넷이나 투구에 맞은 후 1루로 진루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선수가 공을 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기본 지표로 사용된다.

출루율: OBP (On-Base Percentage)

출루율(OBP)은 볼넷이나 안타로 타자가 1루에 진출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다. 타자가 타석에 들어선 후 베이스에 도달하는 시간의 총평균 백분율로 나타낸다.

타자가 출루하는 모든 시나리오를 포함하기 때문에 출루율은 타율보다 공격 생산성을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희생번트는 이 계산식에서 제외한다. 

출루율 스탯의 가장 큰 단점은 장타와 단타를 똑같은 비중으로 계산한다는 것이다. 즉, 삼루타를 치는 것과 단타로 1루로 진출하는 것은 출루율에서 다르게 보지 않아 타자의 생산성을 정확하게 보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다.  

타점: RBI (Runs Batted In)

타점(Runes Batted In)은 타자가 공을 쳐서 득점한 경우 외에도 타석에서 볼넷, 데드볼 등으로 밀어내기로 득점을 만들어낸 경우까지 포함한 득점수를 의미한다. 하지만 득점 행위가 모두 타점으로 산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 병살타를 치거나 실책으로 득점하는 경우 등은 타점으로 인정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플레이에서 만들어진 득점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야구에서 득점을 만들어내는 상황 대부분이 타점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타점이 높다는 것은 클린업 타자일 가능성이 크며, 100타점을 넘기면 좋은 수치로 여긴다. 

또한 타점은 클러치 히터(또는 “적시 타자”: 2루와 3루에 주자가 있을 때 안타를 치거나 중요한 순간에 홈런 및 장타를 날려 득점 찬스를 만들어내는 타자)의 지표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사실 선수의 타격 능력과 타점은 직접적으로 상관이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타점이 먼저 타자를 한 선수들의 출루 여부 및 타순, 뒤 타자의 기량 등 다른 선수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록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클러치 타격 능력을 정확하게 계산하려면 타자가 기회를 잡았을 때 실점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 수치를 비교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  

장타율: SLG (Slugging Percentage)

타율 지표에서 1루타와 홈런을 같은 안타로 간주하는 것을 보완하고 장타력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다. 단타에 1, 2루타에 2, 3루타에 3, 홈런에는 4의 가중치를 각기 부여하여 모두 더한 수를 타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선수가 타수마다 홈런만 쳤다고 가정하면 이 스탯의 최댓값인 4.000의 장타율을 갖는 것이다. 

타율(AVG)/출루율(OBP)/장타율(SLG)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선수의 타격 능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단타만 많이 치는 타자의 경우 간헐적으로 홈런을 만들어내는 타자보다 장타율이 높을 수 있어 지표의 이름처럼 순수하게 장타 능력을 보는 데 다소 한계가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순장타율: ISO (Isolated Power)

앞서 언급한 것처럼 장타율은 단타를 많이 칠 때도 높아지기 때문에 순수하게 장타력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스탯이 순장타율(ISO)이다. 장타율에서 타율을 빼는 단순한 계산식으로 장타율이 높은 타자를 쉽게 파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지표는 기술적인 지표로 선수의 공격력이나 생산성과의 연관성은 낮으며 이 지표가 높다고 좋은 선수라는 의미는 아니다. 단지 선수가 어떤 유형의 타자인지 판단하는 데 활용한다. 출루율과 장타율이 같다는 전제하에 순장타율이 낮은 것을 더 좋게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가중 출루율: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가중 출루율은 출루율의 단점을 보완한 스탯으로 각 안타 또는 1루로 진전하는 것에 상대적인 값을 부여하는 세이버메트릭스 통계다. 현대 야구의 타격 지표 중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중요한 지표로 꼽힌다. 

각각의 행위에 다른 계수를 곱하는 계산식을 가지고 있어 다소 복잡한 편이다. 이는 각 행위의 가치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기 때문인데, 득점과 상관관계가 높아 타자의 생산력을 계산하는 데 매우 유용하고 정확도가 높은 지표로 여겨진다. 

주요 투수 평가 지표

평균자책점: ERA (Earned Run Average)

평균자책은 타자의 타율처럼 가장 기본적으로 보는 투수 통계다. 투수가 투구한 9이닝당 평균적으로 몇 실점을 허용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다. 

총 자책점에서 9를 곱하고 등판한 이닝 수를 나누는 계산식으로 결과를 도출하므로, 실점을 적게 할수록 지수가 낮다.. 즉, 이 지수는 낮을수록 좋다.

다만 불펜투수들은 선발투수 대비 등판 이닝 수가 적기 때문에 실점을 많이 한 경우 평균자책점이 급격히 올라가게 된다. 또한 수비가 약한 팀에 속한 투수들은 이 지표가 낮게 나올 수 있어 평균자책점만으로 투수 지표를 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 

9이닝당 평균 실점: RA9 (Run Allowed Per 9 Innings Pitched)

이 지표는 투수가 마운드에 있을 때 허용하는 9이닝당 평균 실점이 어느 정도인지 보여준다. 비자책점은 제외하는 평균자책점과 달리 비자책과 자책 구분 없이 모든 실점을 반영하는 지표다. 

잡음이 있는 스탯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지표다. 

9이닝당 삼진 개수: K/9 (Strikeout Per 9 Innings Pitched)

100이닝에서 50개의 삼진을 잡은 투수 A와 50이닝에서 35개의 삼진을 기록한 투수 B가 있다면, 어떤 투수가 더 우수한 탈삼진 능력을 갖추고 있을까? 위의 예를 다시 본다면 A의 K/9는 4.5이고 B의 K/9는 6.3이므로, B가 삼진을 더 잘 잡는 투수라고 할 수 있다.

서로 샘플 사이즈가 다르므로, 일정한 단위로 환산하여 비율을 비교해야 할 것이다. 투수의 능력을 비교하는 데 있어서 가장 흔히 쓰이는 단위는 역시 이닝일 것이다.

그것도 이왕이면 한 경기(=9이닝)에 몇 개 정도의 삼진을 잡는지를 표기하면, 좀 더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해진다.그래서 9이닝당 삼진 개수를 계산하게 되었다.

조정 가중 득점 생산력: wRC+ (Weighted Runs Created Plus)

가중 출루율(wOBA)과 마찬가지로 타석에서 타자의 전체적인 공격 기여도를 평가하는 가중치 세이버메트릭스 통계이다. 

이 지표에서는 100을 리그 평균으로 잡고, wRC+ 값이 150인 선수는 리그 평균보다 50% 더 득점을 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100이 평균이므로, 해당 수치가 175 이상인 주전 선수들은 리그 MVP 선수급으로 볼 수 있다. 

삼진 아웃 백분율: K% (Strikeout Percentage)

이 지표는 타석당(PA) 삼진 아웃을 당할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쓰이는 것으로 탈삼진의 수를 타석수로 나누는 간단한 계산식으로 도출한다. 

타자가 타석에서 스트라이크를 세 번 허용하여 아웃되는 삼진은 점수판에 ‘K(Strikeouts)’로 표시되기도 한다. 투수가 던진 타자의 수를 단순히 집계하는 것만으로는 투수의 능력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탈삼진(K)은 이는 마운드에 오른 투수가 몇 번의 삼진 아웃을 만들어내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본적인 지표다. 

이를 바탕으로 삼진율(K%)을 계산하는데, 투수가 볼넷을 내거나 안타를 내주는 대신 삼진을 만들어 낼 가능성을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특히 투수의 삼진율과 볼넷 비율을 비교하여 전반적인 선수 효율을 파악할 수 있으며, 투수의 삼진율이 볼넷율을 초과할수록 투수의 유효성은 높아진다.

투구 이닝: IP (Innings Pitched)

투수가 투구를 완주한 이닝의 수를 의미하며 투수가 마운드에 있는 동안 아웃되는 타자와 주자의 수로 측정된다. 투수는 3아웃마다 1이닝씩 경기에 출전하므로, 타자 1명을 아웃시키면 1/3(0.1)로 계산한다.  

투구이닝은 선발 투수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가장 유용한 지표 중 하나다. 선발진의 경기당 평균 투구 이닝(IP)을 알고 있다면 불펜으로 언제 구원 등판할지 대략 예측할 수 있다.

이닝당 볼넷 안타 허용률: WHIP (Walk plus Hit per Inning Pitched)

투수가 한 이닝당 볼넷과 안타를 얼마나 허용해 평균 몇 명의 주자를 내보내는지를 보여 주는 지표다. 이닝당 볼넷과 안타 허용률로 번역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도 WHIP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계산식을 살펴보면 볼넷과 피안타 수를 더한 후 이닝 수로 나눈다. 따라서 안타와 볼넷은 이 지표에 포함되지만, 몸에 맞는 공은 제외된다. 또한, 고의사구를 일반 볼넷과 구분하지 않는다는 한계는 있다.

하지만 계산식이 간단하고 투수의 출루 허용 정도를 대략 파악할 수 있어서 널리 쓰이는 지표다. WHIP이 높고 평균자책점(ERA)이 낮은 선수가 있다면 이 선수는 주자를 출루시키는 비율은 높지만, 득점까지 연결되지 않게 관리를 잘하는 선수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 FIP (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이 통계는 수비력은 고려하지 않고 투수가 통제할 수 있는 삼진, 사사구, 피홈런의 3개 요소에 집중해 계산하는 평균자책점이다. 

일반 평균자책점(ERA)의 단점을 보완하는 지표로, 두 명 이상의 투수의 상대적 가치를 직접 비교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현시점의 성과 보다는 미래의 투구 성적을 예측하는 데 더 효과적인 스탯으로 알려져 있다. 

타구 질을 반영한 평균 자책점: SIERA (Skill-Interactive Earned Run Average)

이 지표는 2010년도에 개발되어 소개된 비교적 최신 투수 스탯이다. SIERA는 타구의 질을 반영한 평균자책점으로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FIP)과 유사하지만, 투수가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요소들을 제거하려고 노력함으로써 투수의 성과를 정량화함으로써 더 정확한 통계를 보여준다.  

평균자책점만 놓고 보면 실제로 꽤 좋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평균자책점 대비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투수들을 SIERA를 통해 더 정확하게 가려낼 수도 있다. 

삼진율, 볼넷률, 투수가 마운드에 있는 동안 가장 자주 발생하는 안타 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주는 복잡한 계산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통해 투수의 다음 시즌 평균자책점을 가장 정확하게 예측하고자 하며 특정 투수들이 왜 안타와 실점을 막는 데 더 성공하는지 설명하려고 노력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투수들 간의 전체적인 품질을 직접 비교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는 스탯이다. 

이 스탯 또한 평균자책점을 의미하기 때문에 숫자가 낮을수록 좋다. 이 지표가 3점 이하라면 좋고, 4점 이상의 점수는 보통 평균 이하로 볼 수 있다.